네트워크 구성
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요소를 설정합니다:
- 장비 배치:
- 라우터는 네트워크의 최상위에 위치하고, 그 아래에 백본 스위치(L3스위치), 마지막으로 L2 스위치가 위치합니다.
- IP 주소 할당:
- 각 PC에 다음과 같은 IP 주소를 할당합니다:
- PC 1: 192.168.1.10/24
- PC 2: 192.168.2.10/24
- 각 PC에 다음과 같은 IP 주소를 할당합니다:
- VLAN 설정:
- VLAN 1은 기본 VLAN으로 설정하고, VLAN 2를 추가 생성합니다.
L3 스위치 설정
다음은 L3 스위치에서 수행할 설정 명령어입니다:
Switch>en
Switch#conf t # 전역 구성 모드로 진입
Switch(config)#vlan 2 # VLAN 2 생성
Switch(config-vlan)#ip routing # 라우팅 기능 활성화
Switch(config)#int f0/2 # 포트 f0/2 인터페이스 설정
Switch(config-if)#switch access vlan 2 # f0/2를 VLAN 2의 액세스 포트로 설정
Switch(config-if)#int vlan 1 # VLAN 1 인터페이스 설정
Switch(config-if)#ip address 192.168.1.1 255.255.255.0 # VLAN 1에 IP 주소 할당
Switch(config-if)#no shut # VLAN 1 인터페이스 활성화
Switch(config-if)#int vlan 2 # VLAN 2 인터페이스 설정
Switch(config-if)#ip address 192.168.2.1 255.255.255.0 # VLAN 2에 IP 주소 할당
Switch(config-if)#no shut # VLAN 2 인터페이스 활성화
Switch(config-if)#end # 구성 모드 종료
Switch# # 프롬프트로 돌아가기
Switch#sh vlan brief
VLAN Name Status Ports
---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--------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 default active Fa0/1, Fa0/3, Fa0/4, Fa0/5
Fa0/6, Fa0/7, Fa0/8, Fa0/9
Fa0/10, Fa0/11, Fa0/12, Fa0/13
Fa0/14, Fa0/15, Fa0/16, Fa0/17
Fa0/18, Fa0/19, Fa0/20, Fa0/21
Fa0/22, Fa0/23, Fa0/24, Gig0/1
Gig0/2
2 VLAN0002 active Fa0/2
1002 fddi-default active
1003 token-ring-default active
1004 fddinet-default active
1005 trnet-default active
Switch#sh ip route
Codes: C - connected, S - static, I - IGRP, R - RIP, M - mobile, B - BGP
D - EIGRP, EX - EIGRP external, O - OSPF, IA - OSPF inter area
N1 - OSPF NSSA external type 1, N2 - OSPF NSSA external type 2
E1 - OSPF external type 1, E2 - OSPF external type 2, E - EGP
i - IS-IS, L1 - IS-IS level-1, L2 - IS-IS level-2, ia - IS-IS inter area
* - candidate default, U - per-user static route, o - ODR
P - periodic downloaded static route
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
C 192.168.1.0/24 is directly connected, Vlan1
C 192.168.2.0/24 is directly connected, Vlan2
위와같이 L3 스위치를 설정 가능합니다.
*생성형 AI 활용한 클라우드&보안 전문가 양성캠프 과정의 교육내용 정리 자료입니다.
'IT 관련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새싹 성동 2기] 패킷 트레이서를 활용한 이더채널 실습: Layer 2 EtherChannel 구성 (0) | 2024.10.27 |
---|---|
[새싹 성동 2기] 이더채널(EtherChannel) 기술의 이해 (0) | 2024.10.27 |
[새싹 성동 2기] VLAN 과 Inter VLAN Routing (0) | 2024.10.27 |
[새싹 성동 2기] 패킷 트레이서를 활용한 VLAN 설정과 트렁크 구성 실습 (0) | 2024.10.27 |
[새싹 성동 2기] TCP/IP 프로토콜 스택과 주요 개념, 스위칭 기술 (1) | 2024.10.27 |